넷플릭스 흑백요리사 미슐랭에 대해서

이미지
넷플릭스의 비영어권 콘텐츠 순위에서 한국 콘텐츠가 1위와 톱텐 안에 드는 것은 이제 놀라울 일이 아닌데, <흑백 요리사>는 또 다른 티핑 포인트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단 수치를 보면, 지난 9월 마지막주 시청수가 490만 뷰로 비영어 TV 콘테츠 1위를 기록했고, 영어 콘텐츠까지 합치면 TV 콘텐츠 중 4위를 기록했다. 사실 요리 경연대회는 한물 간 아이템이기도 하다. <아이언셰프>를 비롯한 무수히 많은 요리 콘텐츠가 쏟아졌던 미국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넷플릭스는 오히려 데이비드 장과 같은 셀럽 셰프를 내세운 라이브 쿠킹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새로운 실험을 하는 중이라고 볼 수 있다. 근데 <흑백 요리사>가 그럼에도 잘 되는 이유는 일단 K푸드의 위세가 아주아주 크다는 이유가 있다. 직간접적으로 K푸드가 소셜미디어를 타고 얼마나 큰 인기를 얻고 있는지를 자주 이야기 해왔고, 얼마 전에는 친구분의 포스팅에서도 다음 K푸드는 순대국이라는 말씀에 곱창/막창 BBQ가 되지 않을까 농담 섞어 이야기해왔는데, 틱톡과 인스타그램에서 한국 음식의 무한 진화를 보고 있으면 이게 농담이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렇게 큰 인기를 얻는 흐름은 이미 늦어도 재작년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2023년에 특히 더욱 커졌고. 제작기획팀과 넷플릭스의 콘텐츠 기획자들은 이 흐름을 보고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그리고 새롭지 않을 포맷을 있는 대로 스케일을 키우면서 화제성을 갖추게 만들었다. 미슐랭 쓰리 스타 셰프와 백종원 그리고 사람들이 그렇게 좋아하는 한국 (음식)의 대표적인 셰프들, 그리고 무려 아이언셰프에서 우승한 에드워드 리와 같은 요소까지 깨알처럼 챙겼다. 자, 보면 소셜미디어에서 온갖 이야기가 한국뿐만 아니라 한국 콘텐츠를 좋아하는 비영어권 국가들 그리고 심지어 미국 시장에 까지 퍼져나갈 수 있는 준비가 된 것이다. 사실 넷플릭스는 올해 들어 본격적으로 '가성비 콘텐츠'...

미드나잇 인 파리(Midnight in Paris, 2011) 리뷰

우디 앨런이 감독한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Midnight in Paris, 2011)>를 며칠 전 집 근처 도서관에서 보았다. 개봉 당시 영화관에서는 보지 않았다. 오늘 <타인을 안다는 착각>이란 책을 읽고 엉뚱하게(?) <미드나잇 인 파리>라는 영화에 관해 쓰고 싶어졌다.


먼저 영화 이야기를 시작하자. 주인공 길(오웬 웰슨 분)은 약혼자 이네즈(레이첼 맥아담즈), 그리고 그녀의 부모님과 함께 미국에서 파리로 여행을 온다. 길은 잘 나가는 영화 각본가지만 대중의 입맛에 맞는 영화만을 원하는 할리우드 영화계에 환멸을 느끼는 중이다. 상업문화에 찌든 할리우드 대신 낭만적인 파리에 환상을 가진다. 정확히는 '현재' 파리가 아닌 '1920년대 재즈 시대' 파리에 푹 빠져있다. 소설가, 시인, 음악가 등이 거리를 누비며 낭만을 구가하던 당시를 그리워하는 거다. 길은 소설가로 전향해 당시 파리에 대해 소설을 쓰고 싶어 한다.

그러다 어느 날 주인공은 약혼자 이네즈를 두고 혼자 파리의 밤거리를 배회하기 시작한다. 밤 12시를 알리는 종소리와 함께 마차가 갑자기 거리에 등장하고, 길은 마차에 올라탄다. 그 마차는 1920년대로 시간여행을 떠나는 마차였다. 주인공은 이후 1920년대 재즈 시대에 활동했던 <위대한 개츠비>의 작가 스콧 피츠제럴드를 만난다. 거기에 세계대전에 직접 참전해 소설을 쓴 어니스트 헤밍웨이, 추상화의 대가 파블로 피카소, 그리고 초현실주의 예술가 살바도르 달리까지 만난다. 꿈에서나 그리던 자신의 영웅들을 직접 만나게 된 것이다.


길은 1920년대 파리에 푹 파져 매일같이 밤 12시 정각에 나타나는 마차를 기다린다. 급기야 현실의 약혼자를 두고 과거 인물과 사랑에 빠지기까지 한다. 바로 헤밍웨이와 피카소의 뮤즈였던 아드리아나(마리옹 꼬띠아르 분)이다.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좌충우돌하던 길은, 자기가 실은 미래에서 왔다는 사실을, 아드리아나에게 처음으로 고백한다. 지금 눈앞에 보이는 1920년대 파리가 너무 마음에 든다는 말도 빼놓지 않는다. 천생연분이었던 것일까. 아드리아나도 길처럼 복고 취향이다. 아드리아나는 자기 기준으로 과거인 1890년대를 그리워한다는 차이만 있을 뿐이다. 자기 시대가 마음에 안 들어 과거를 그리워한다는 점이 둘의 공통점이다. 

1920년대 파리와 현재 파리가 교차편집으로 영화 내내 왕복 운동을 한다. 화려한 질감의 영상으로 묘사한 1920년대 파리와 밋밋한 색조로 담담하게 보여주는 현재의 파리가 극명히 대비된다. 주인공 길은 낭만 없는 현재와 환상적인 과거를 왕복하며 점점 현실에 정을 붙이지 못하게 된다.


사실 과거는 미화되기 마련이다. 더구나 자기가 직접 살아보지 않은 시기는 더 그렇다. 예컨대 지금 많은 20대들은 고도성장기여서 취직이 상대적으로 훨씬 용이하던 80년대나 90년대 초반 한국 사회를 낭만적으로 묘사하기도 하지만, 당시도 나름의 고충이 있던 시기였다. 당시가 더 좋았던 면도 있겠지만 지금이 더 좋아진 측면도 분명히 있다. 몸으로 직접 경험하기 전에는 알 수 없는 게 많다. <타인을 안다는 착각>이란 책에서는 타인을 이해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단언한다. 왜일까? 사람은 매 순간 변하고(제행무상諸行無常) 따라서 고정된 어느 시점을 상상하고 타인을 이해하려는 시도는 부질없기 때문이다. 저자는 오해는 오해인 채로 내버려 두는 게 최선이라 주장한다. 이해하려 애쓰면 오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모든 건 항상 변하기에 몸이 변하기 전에는, 다시 말해 직접 경험하기 전에는,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영화를 통해 설명하자면 이전 시대로 간 자신은 미지의 존재이므로 변화하기 전인 현재에 있는 자신이 과거로 간 자신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변화한 후의 나'를 알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모순이 되는 거다. 변화는 '의식'이 아닌 '몸'이 느끼는 것이기 때문이다.


<미드나잇 인 파리> 주인공은 1920년대 파리라는 장소와 거기 속한 인물들을 완전히 타자화(他者化) 시켜 자신의 환상을 공고히 하는 수단으로 활용한 것이다. 예컨대 농촌이라는 장소와 농촌 사람들을 자기 환상에 맞춰 재단하면 실망밖에 할 게 없을 것이다. 요새 귀농 판타지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도시 생활에 지친 탓일 것이다. 하지만 농촌에 실제 살고 있는 주민들은 자신들의 삶을 자신의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다. 도시와 마찬가지로 농촌 생활도 어려운 점이 많고, 항상 정이 넘치는 상황만 존재하는 건 당연히 아니다. 사람 사는 곳이면 어디나 그렇듯이, 구체적인 농촌의 실상 대신 개인적 환상만을 투사하며 귀농 생활을 하면 환멸밖에 남는 게 없다. 역시 몸으로 겪지 않고는 알 수 없는 부분이다.

BEST POST 추천글

Muscle Korean Onlyfans information

영화 라스트 스톱 인 유마 카운티 결말 줄거리 후기 정보 The Last Stop in Yuma County 2023

어느 한국인 50대 게이 이야기 (real story)